K O R E A N
27
동일한 교체 부품을 이용하는 유자격 수리공에게
전동공구 서비스를 받으십시오. 전동공구의 안전한
관리를 보장받으실 수 있습니다.
(1)
(4)
(5)
(6)
(7)
(8)
(1)
(2)
(3)
(1)
5) 서비스
전원스위치가 작동하지 않으면 공구를 사용하지
마십시오. 스위치가 불량한 공구는 위험하므로 반드시
수리해야 합니다.
전동공구의 조절장치 설정을 변경하거나, 부속품을
교환하거나, 보관하기 전에 전원에서 플러그를 뽑아야
합니다. 이러한 예방 안전법을 준수하면 예상치 못한
공구의 시동 위험이 감소합니다.
사용하지 않는 전동공구는 어린이나 숙련되지 않은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십시오.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가 전동공구를 사용하기에는 위험합니다.
전동공구를 관리하십시오. 조정 불량이나 구동 부위의
박힘, 부속의 파손이나 전동공구 작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타 상태를 확인하십시오. 손상되었다면,
사용하기 전에 수리하셔야 합니다. 정비가 불량하면
많은 사고가 발생합니다.
절삭도구를 날카롭고 깨끗하게 하십시오. 날카롭게 잘
정비한 절삭도구는 작업 대상물에 잘 박히지 않고,
통제하기 쉽습니다.
작업 상태나 수행할 작업을 고려하여, 본 지시사항에
따라 특정 용도로 전동공구 및 부속품, 기구 비트를
사용하십시오.
사용 목적에 맞지 않는 전동공구를
사용하면 위험에 처할 수 있습니다.
(2)
(3)
(4)
(5)
(6)
(7)
-
-
-
끼어있거나 박혀있거나 조정 불량의 톱날에는 갑자기
반동이 일어나 톱날이 들어올려지거나 작동자를 향해
작업 대상물 밖으로 나오게 됩니다.
톱날이 아래쪽으로 켠 자국에 단단히 끼어있거나
박혀있을 때에는 톱날은 시간을 지연시키고, 모터는
재빨리 작동자를 향해 작동합니다.
톱
날이 꼬여있거나 조정이 불량하게 된다면, 톱날의 뒤쪽
가장자리 톱니는 목재 표면을 파고 들어가 톱날이 그 켠
조각 위로 올라 작동자를 향해 튀어 오르게 됩니다.
반동력에 대항하여 톱의 손잡이를 양손으로 확실히
잡고 팔을 제 위치에 두십시오. 신체를 톱날의 한 쪽에
두고, 톱날과 일렬로 있지 마십시오.
반동으로 톱날이
뒤쪽으로 튀어오를 수 있지만 주의하면 작동자가
반동력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경고 : 절단 부위나 톱날에 손을 가까이 두지
마
십시오. 간접적으로 손을 보조 핸들이나 모터하우징에
두십시오. 만약 양 손으로 톱을 잡고 있으면, 톱날에
의해 잘릴 수 없습니다.
작업 대상물 아래에 가지 마십시오. 작업대상물 아래에서
가드로 사용자를 톱날에서 보호할 수 없습니다.
작업 대상물의 두께에 절삭 깊이를 조정하십시오. 작업
대상물 아래 톱니의 모든 니보다 적은 니가 보여야
합니다.
모든 톱에 관한 안전 수칙
자를 부분을 손이나 다리로 절대 붙잡지 마십시오.
작업 대상물을 안정한 곳에 두십시오. 이는 신체 노출,
톱날 박힘, 제어불능 등을 최소화하여 제대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요합니다.
절단공구가 숨어있는 전선에 닿을 수 있는 곳에서
작업을 할 때 절연된 손잡이 표면으로 전동공구를
잡으십시오.“전류가 흐르는”전선에 접촉하게 되면
전동공구의 노출된 금속부위에도“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작동자가 감전될 수 있습니다.
세로켜기를 할 때에는 조기대나 스트레이트 엣지
가이드를 항상 사용하십시오. 그렇게 하면, 보다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고 톱날이 박힐 기회가
줄어듭니다.
항상 아버 구멍이 알맞은 크기와 형태(다이아몬드형
vs 원형)의 톱날을 사용하십시오. 톱의 고정 부분과
맞지 않는 톱날은 편심적으로 작동하여 통제 불능이
될 수 있습니다.
손상되거나 맞지 않는 톱날 워셔나 볼트를 절대
사용하지 마십시오. 최적의 성능과 작동시의 안전을
위해 톱날 워셔와 볼트는 톱에 맞게 특별히
고안되었습니다.
부가적인 특별 안전 수칙
반동의 원인과 작동자 예방법
반동은 톱날을 잘못 사용하거나 잘못된 작동 과정 혹은 상태로
인해 발생하며, 다음과 같이 적절히 주의하면 이를 피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