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두번째 엔코더를 눌러 색상을 전환합니다.
4.
세번째 엔코더로 선택한 채널의 아이콘을 조절합니다. 다양한
클립아트가 준비되어 인풋 소스나 출력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5.
네번째 엔코더로 snippets 이름의 목록에서 채널에 사용할 이름을
선택합니다.
6.
네번째 엔코더를 눌러 선택한 값을 적용합니다.
7.
5번째 엔코더를 눌러 텍스트를 변경합니다.
8.
5번째 엔코더를 이용하여 사용가능한 캐릭터를 탐색하고
9.
다섯번째 엔코더를 눌러 현재 글자를 적용합니다.
10.
6번째 엔코더로 캐릭터셋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11.
6번째 엔코더를 현재 값을 저장하거나 텍스트 편집기를 빠져나옵니다.
preamps
이 화면에서 콘솔의 모든 프리앰프에 대한 컨트롤을 할 수 있습니다. 로컬
및 AES50으로 연결된 프리앰프를 볼 수 있습니다. 위/아래 버튼을
이용하여 두개의 프리앰프 레이어 사이에서 변경합니다. 푸시 엔코더를
누르면 팬텀 전원이 들어옵니다. 첫번째 엔코더를 돌려 8입력 뱅크
사이에서 전환합니다. 눌러서 원하는 값을 적용합니다.
card
이 화면은 입출력 구성을 선택합니다. 두번째 엔코더를 이용 아래의
프리셋을 선택힙니다.
•
32in / 32out
•
16in / 16out
•
32in / 8out
•
8in / 32out
•
8in / 8out
•
2in / 2out.
2.5
Library
라이브러리 화면에서는 채널의 입력 이펙트
프로세서나 라우팅 시나리오 등의 자주 사용하는
설정을 불러오거나 저장할 수 있습니다.
라이브러리 화면은 아래의 분리된 탭으로 구성됩니다.
channel
: 채널 DSP 이펙트에 관한 설정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effects
: 자주 사용하는 이펙트 프로세서 프리셋을 불러오거나
저장할 수 있습니다.
routing
: 자주 사용하는 신호 라우팅을 불러오거나 저장할
수 있습니다.
channel
라이브러리 화면의 Channel탭은 자주 사용되는 채널 DSP효과를
불러오고 저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가수에게 필요한 EQ
또는 콤프레서 설정을 프리셋으로 저장하여 차후에 불러올 수
있습니다.
channel 탭에서 설정을 하려면, 아래의 단계를 따르세요:
1.
첫번째 엔코더로 프리셋을 불러올때 입력 채널의 어떤
특성을 불러들일지 선택합니다. 선택 옵션은 아래와
같습니다.
•
Head Amp (Microphone Preamplifier)
•
Configuration
•
Gate
•
Compressor
•
Equalizer
•
Sends.
2.
첫번째 엔코더를 눌러 현재 선택한 요소의 불러오기 세팅을 켜고 끌
수 있습니다.
3.
두번째 엔코더로 프리셋을 검색합니다.
4.
두번째 엔코더를 눌러 현재 선택된 프리셋을 불러오고 선택 채널에 그
세팅을 적용합니다.
5.
세번째 엔코더로 채널 프리셋 리스트에서 현재 프리셋을 저장할
곳을 선택합니다.
6.
세번째 엔코더로 채널을 선택한 프리셋에 저장합니다.
7.
세번째 엔코더를 누르면 프리셋 명칭 화면이 나타나고 엔코더 4-6을
이용해서 이름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완료 시 6번째 엔코더를
누르세요
8.
.
9.
네번째 엔코더로 현재 프리셋 슬롯의 프리셋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